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리상담-인지심리학 - 오 기억의 특징, 실험 내용, 기타 사례, 과제제출

by 파아란심리상담 2023. 7. 12.

 

오 기억의 특징

- 오 기억이란 실제 발생하지 않은 사건을 기억하거나, 정보의 출처를 혼돈하기도 하고,

상했던 일을 실제 일어났던 일로 착각하는 경우

: 엄밀히 말해 기억이라기보다는 꾸며진 이야기나 착각으로 볼 수 있음

: 아동기에 경험한 성적 학대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법적 소송 절차를 밟는 경우가 종

종 있는데, 이 경우 기억이 억압된 기억인지, 발생하지 않은 사건에 대한 기억인지 구분

하는 일은 어려움

>억압된 기억의 회복은 심리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기도 하며, 치료자의 암시나 유도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음

 

 

 주요 실험 연구 (열린사이버대, 인지심리학 교재, 정윤재) 

1. DRM 패러다임

- DRM패러다임을 사용한 오기억 연구(Roediger & McDermott, 1995)

: DRM 패러다임은 Deese(1956)의 연구를 Roediger McDermott가 발전시켜 오기억을

실험실에서 연구했기 때문에 이름의 앞자를 따서 DRM패러다임으로 명명

: 실험실 상황에서 오 기억이 발생 될 수 있음을 증명

: 단어 제시 후 재인 판단 과제 실시

: Sweet”란 단어가 제시되지 않았음에도 제시된 것으로 착각

: 앞서 제시된 모든 단어들이 sweet와 강하게 연합되어 있기 때문에 sweet가 활성화 되어 오 기억이 발생

 2. 어린 시절 오기억 연구 - 어린 시절 기억에 대한 오기억 연구(Wade et al, 2002)

: 가족사진을 이용해 가짜로 열기구에 타고 있는 사진을 합성

: 합성 사진을 제시 한 후, 참가자들에게 열기구를 탔을 때

일어났던 모든 경험을 보고하도록 요구

: 50%가 열기구를 탄 적이 있다고 응답

: 심지어 한 학생은 열기구 탔을 때의 경험을 아주 상세히 보고함

3. 디즈니랜드 광고를 통한 벅스 버니와의 악수 경험 왜곡 기억의 실험 (열린사이버대, 인지심리학 교재, 정윤재)

- 디즈니랜드 광고를 통한 오기억 연구 (Braun, Ellis & Loftus / 2001)

출처: http://www.dreamstime.com/

Ex1) 광고 제시 집단과 비제시 집단에게 디즈니랜드의 경험에 대한 질문

: 디즈니랜드 광고를 제시 받은 집단이 미키 마우스와 악수 했다는 경험에 대한 확신이 큼

Ex2) 디즈니랜드에서 볼 수 없는 벅스 버니 광고문구를 넣어 보여 준 뒤 디즈니랜드에 대한

경험에 대해 질문

: 광고 제시 집단이 벅스 버니와 악수 했다는 개인적 경험에 대한 확신도가 더 크게 나타남

자전적 기억을 동원한 광고가 실제로 어린 시절의 기억을 왜곡 시킬 수 있음을 시사

기타 사례

증언의 왜곡

 

언론에 보도된 범죄 사건의 재판 중, 증인 A는 피고인을 목격했다고 진술했습니다. 그러나 검찰이 제시한 CCTV 영상에서는 피고인이 범죄 현장에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후 증인 A는 기억을 다시 되살리며 피고인이 아닌 다른 사람을 목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사례에서는 증인 A의 기억이 왜곡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오기억의 한 형태로, 증인 A의 기억이 초기에는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러 요인들이 이러한 왜곡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증인 A는 범죄 현장에서의 강한 감정적인 영향을 받았거나 사건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기억의 왜곡을 야기할 수 있으며, 증인 A가 피고인을 목격한 것이 아니라고 나중에 주장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사례는 오기억이 어떻게 형성되고 왜곡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우리의 기억은 주관적인 해석과 필터링을 통해 형성되며, 개인의 경험과 기대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왜곡은 법적인 사건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우리는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심리학적인 이론과 연구를 통해 이러한 왜곡 현상을 이해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억을 형성하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과제제출

 

1. 사건 개요

1) S월드에서 아이가 유괴됨.

2) 하필 그 당시에 인근 CCTV가 수리 중이어서관련 영상이 확보 안되었음.

3) 유괴된 아이는 7/남아/호리호리함/반바지/청색 티셔츠 차림

4) 이 아이를 누군가 데리고 가는 장면을 봤다는 유일한 목격자에 따르면, 170 상당/무늬가독특한 셔츠/청바지/머리가 짧은 남성이 데리고 가는 것을목격했다고 함

5) 경찰은 즉시 혼잡했던 S월드를 봉쇄하고 관련자들을물색하여 용의자 A를 검거함

6) 이에 용의자 A는 결백을 주장하며, 나에게 변호를 의뢰함.

7) 경찰 조사과정에서 목격자는 정확하게 A를 지적하며아이를 데리고 가는 것을 보았다고 주장함.

8) 아직 아이의 행방은 확인이 안되고 있음.

 

2. 변호의 방식

1) 목격자의 진술만을 의존하는 상황에서 목격자의 기억의 정확성(오 기억), 기억의 왜곡, 특히S월드가 당시에 혼잡하고 각종 이벤트를 하느라 무기 초점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함

2) 목격자의 오 기억 가능성 실험

(1) 같은 류의 독특한 셔츠와 체형/머리모양이 유사한남성 3사람을 추가로 섭외하여 용의자 A와 섞어서, 짧은 시간에 지나가면서 보도록 시도.

목격자가 용의자 A를 정확히적시하는 지 확인할 것

(2) S놀이동산의 특성을 감안하여 유사한 아이들이많이 와서 부모/특히 아버지와 같이 돌아다닐 가능성을 감안하여, 3커플을제시.

성인 남성의 복장이나 체형을 다양하게 한 뒤에, 아이의 복장을 유사한 형태로 해서 실험 실시.

용의자는 다른 복장의 아이를 데리고 등장.

목격자가 정확히 적시하는지 확인할 것

(3) 3-2)-(2)의 실험과 유사하지만, 성인 남성의 복장과 체형은 동일하게, 아이의 복장은 실종된 아이의복장 및 체형과 동일한 형태로 해서 실험 실시

목격자가 정확히 적시하는지 확인할 것

 

3. 실험 목적

목격자가 당시 놀이동산에서 여러 종류의 자극(소음, 이벤트, 퍼레이드, 공연 등)속에서 정서적 자극과 특이한 자극간의 관계에서도 유괴장면그리고 그 장면 속의 용의자와 유괴된 아이를 정확히 기억해내는지를 확인하여 용의자의 결백을 증명 시도함.